[2024] 한국의 설날, 나라별 새해 문화·전통·음식·선물

이미지_네이버블로그 플라톤 독서논술 공식블로그

 설날(Seollal)은 추석과 더불어 대표적인 한국의 명절로 음력 11일이다. 현대 한국에서 새해는 대부분 양력 11일인 새해 첫날에 기념하고, 일가 친척들이 만나는 전통 명절 기념은 음력설에 한다. 설날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친척이나 이웃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는 것이 한민족 고유의 풍습이다. 그믐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하여 밤을 지새우기도 한다. 차례를 지내고 세배를 한 후에는 윷놀이·널뛰기·연날리기 등 여러 민속놀이를 하며 이 날을 즐겼다.

 설날이 되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고, 세배하러 온 손님에게도 대접하는데, 이때 반드시 떡국을 차린다. 물에 불린 멥쌀을 빻은 가루에 다시 일정량의 물을 부어 반죽한 다음 쪄내 길쭉하게 뽑아낸 가래떡(흰떡)을 어슷썬 것을 떡국 떡으로 부른다. 설날 흰떡을 사용하여 떡국을 만드는 것은 새해 첫날이 밝아오므로 밝음의 뜻으로 흰떡을 사용하고,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둥근 태양을 상징하는 등 태양숭배 사상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새해 첫날에 먹는 풍속의 뜻은 떡국 자체가 본래 긴 가래떡으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국수처럼 오래 살라는 장수를 상징하고, 엽전처럼 둥글게 써는 것은 돈을 상징하여 가래떡처럼 재산이 늘어나라는 의미를 가진다.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 한 살도 함께 먹게 된다는 풍습도 있다.
 설날에는 떡국외에도 쇠고기 산적, 떡갈비, 식혜, 수정과등을 먹는다.

 세 가지 궁금한 것이 있다.

  • 다른나라는 어떤 새해모습을 하고 어떤 음식을 먹을까?
  • 다른나라에도 재산을 가져오라는 의미의 음식이 있을까?
  • 다른나라의 새해 소망은 무엇일까?

사진_()아시아기자협회

[비주얼 뉴스] 나라별 새해풍습 둘러보기

출처_조선일보

 한국한 해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 열림. 종로 보신각종을 33번 치며 새해 소망을 기원한다.

일본새해 첫날 신사를 방문해 복을 기원하는 절을 올린다. 가정, 직장, 신사에서 대청소를 한다.

중국홍콩 신년 카운트다운 행사는 레이저 쇼와 불꽃놀이로 유명하다.

필리핀, 112달에 맞춰 12가지 둥근 과일을 먹고, 땡땡이 옷을 입기도 한다.

미얀마, 지난해의 묵은 것을 씻어내는 의미로 서로에게 물을 뿌리는 '띤잔' 축제를 즐긴다.

오스트리아, 뒤로 걸을 수 없는 돼지는 발전과 전진을 의미. 돼지고기를 먹거나 인형 선물한다.

덴마크, 새해 전날, 친구·가족의 집 앞에서 접시를 깨뜨린다. 깨진 조각이 많을수록 좋은 일이 많이 생긴다고 믿는다고 한다.

프랑스,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크레페를 먹는다.

독일, 숟가락에 납을 녹인 뒤 물에 부어 나타나는 모양으로 점을 친다. 행운을 상징하는 돼지 모양의 '마지팬 피그(아몬드 과자)'를 먹는다. '베를리너'라는 잼이 들어있는 도넛을 먹는데 겨자가 들어가 있다면 불운을 뜻한다고 한다.

이탈리아, 산 마르코 광장에서 신년이 되는 순간 키스하며 축하를 한다복을 가져다주는 동부콩 스프를 먹는다.

노르웨이, 아몬드와 설탕, 계란으로 만든 '크란세카지' 라는 마지팬 링 케익을 먹는다.

스위스, '아펜첼' 마을에서 분장을 하고 마을을 배회하는 축제 '질베스터클라우젠' 이 열린다. 아이스크림 한 스쿱을 바닥에 떨어뜨려 행운과 번영을 기원하기도 한다.

스페인, 마드리다 푸에르타 델솔 광장 시계 종소리에 맞춰 포도를 한 알씩 12알 먹는다. '로스콘 데 레예스'라는 빵에 인형을 숨겨, 이를 발견하는 사람은 행운을 얻는다고 믿기도 한다.

칠레, 묘지에서 먼저 간 사랑하는 사람과 새해를 함께 맞이한다. 잔잔한 음악과 촛불도 함께한다.

콜롬비아, 여행으로 가득한 다음 해를 위해 빈 캐리어를 들고 동네 한 바퀴를 돈다. 복을 주는 의미의 렌틸콩을 먹고 주머니에 넣고 다닌다.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의 볼 드랍! 원 타임스 스퀘어 건물에서 매년 신년이 되는 순간 43m 아래로 볼 모형이 내려온다. 남부에서는 검은콩이 들어간 전통 쌀 요리 '호핑 존'을 먹는데 전 지역 새해 음식으로 퍼졌다고 한다.

아시아 각국의 설 명절 음식

출처_미쉐린 가이드

[음식 리뷰] 각 나라별 새해 맞이 음식을 알아보자

출처_리뷰타임스와/국민리뷰어
이미지_Wikimedia commons /픽사베이 제공

우리나라는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인 '' 풍습으로 가래떡으로 만든 떡국을 먹는다. 한 해를 맞이하면서 그 하루 하루가 무탈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전세계 어디나 다를 바가 없다. 먹는 음식과 주고 받는 언어만 다를 뿐이다. 음식을 만드는 세계인의 정성과 음식에 담긴 의미를 되새기며 2024년을 좀 더 색다르게 맞이해 보는 건 어떨까? 

중국 자오쯔(交子·교자)


중국은 음력설(11)'춘절'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우리의 설날에 해당하는 중국 최대의 명절이다. 중국인들은 새해가 시작되는 12시부터 둥근 자오쯔(餃子)를 먹으며 새해를 축하한다.
반드시 묵은해의 마지막 날 자시(오후 11~ 오전 1)에 빚어서 먹어야 하는데, 이 자시의 앞부분은 묵은 해이고 뒷부분은 새해이다. 자오쯔는 묵은해와 새해의 교차점이라는 뜻인 자오쯔(交子·교자)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송구영신을 뜻하고 길상을 상징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는 자오쯔 모양이 고대 중국 화폐의 하나인 원보를 닮아 재물운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고 하여 자오쓰에 성서로운 음식을 소로 넣고 빚으며 새해 소망을 빌었다고 한다. 자오쯔는 곡물반죽으로 만든 피에 각종 고기와 야채소를 싼 뒤 찌거나 구워서 만드는 중국 전통 만두다. 중국인들은 이 음식을 먹으면 귀와 입이 열려 복이 몸 속으로 들어온다고 믿는다.

일본 오세치(御節)

일본의 오세치 (Wikimedia commons 제공)

일본에선 설을 양력 11일에 지내는데, 이때 먹는 음식을 '오세치(おせち)'라고 한다. 오세치는 구이, 초절임, 조림 요리 20~30가지를 커다란 3~5단 찬합에 담아 먹는 음식이다. 음식 구성은 콩자반, 멸치 조림, 계란말이 등 일반적인 반찬부터 새우 구이, 도미 구이 등 값비싼 요리까지 다양하다. 새해에는 불을 신성히 여기어 최대한 불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새해 전에 만들어놔야 하기 때문에 조림, 찜 요리 또는 식초에 절여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식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 오세치를 도시락에 담아 먹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 이후부터다. 신에게 받치는 음식임과 동시에 가족의 번영을 기원하는 엔기모노(길조를 비는 음식)여서, 오세치 요리에는 풍년, 건강, 번영 등 복을 가져다주는 재료를 사용한다. 

인도 우유죽

인도에서는 새해에 가족들이 모두 모여 마당에서 우유와 쌀로 만든 우유죽을 끓인다. 이렇게 만든 우유죽은 무화과 잎사귀에 싸서 주위 사람들과 나눠먹는다. 우유죽은 복을 상징하는데, 이는 부처님이 우유죽을 얻어먹었다는 이야기 때문이다. 또한 우유죽을 끓이면서 한 해의 운세를 점치기도 한다. 잘 끓여져야 복을 받는다고 한다.

베트남 반쯩(bánh chung) & 반텟(Banh tet)

베트남에서는 음력 11일을 ''이라 부르는데, 뗏은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이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설 음식은 '반쯩'이라고 부르는 찹쌀떡으로, 여기서 ''은 빵, ''은 자박자박한 물에 찌다라는 뜻이다. 베트남에서는 쌀을 액운과 잡기를 없애는 음식으로 여겨서 반쯩은 한 해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반쯩은 바나나 잎으로 감싼 사각형의 찹쌀떡 안에 돼지고기와 녹두를 같이 넣어 먹는 것이 특징이다. 약한 불에 3시간 이상 쪄내야 하는 대표적인 슬로우푸드로, 한 해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베트남 사람들의 바람을 담아 정성스럽게 만든다.
반쯩은 북쪽 스타일로 네모나게 만들고, 반텟은 남쪽 스타일로 원통 형태로 만든다.

말레이시아 로헤이 이샹(LO Hei Yee Sang)

말레이시아의 로헤이 이샹 (Wikimedia commons 제공)
말레이시아의 대표 설 음식으로는 이샹을 들 수 있다. 이샹은 중국에서 음력 17일에 먹던 날생선 요리이지만, 전 세계로 이주한 중국계 이주민들 가운데 유독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중국계 문화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음식이 되었다. 그 이유는 바로 로헤이 이샹(Lo Hei Yee Sang, 捞起魚生)’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한 중국계 이주민이 개발한 음식이기 때문이다로헤이 이샹은 높이 들어 평안을 기원한다는 뜻으로, 이샹을 높이 들어 올려 부와 행복을 기원한다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

러시아 올리비에(Olivier)

러시아에서는 새해 첫날에는 항상 귤을 먹는다. 귤이 빨간 휴일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족, 친구들이 함께 모여 샴페인과 함께 새해맞이 축하 파티를 연다. 이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올리비에에요. 올리비에는 삶은 계란, 당근 등 각종 야채와 고기를 마요네즈에 버무린 샐러드이다.
이 전통은 18세기 초에 피터 대제에 의해 시작됐다. 그 전에는 새해의 시작이 91일이었다. 지금은 11일부터 10일까지 새해 겨울 휴일이다. 전통 새해 음식인 올리비에와 '모피코트 아래의 청어'(야채로 덮은 소금에 절인 청어) 등을 차린다. 새해를 기념하는 것처럼 일 년을 보내게 된다고 믿기 때문에 새로운 한 해를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서 새해의 식탁에 여러 가지 많은 음식을 내놓는다. 12시에 샴페인을 마시고 소원을 빈다. 또 많은 가정에서 새해의 축복이 들어있는 특별한 빵을 굽는다. 종이에 여러 가지 소원을 쓰고 호일로 감싸 빵 속에 넣는다. 예언 빵도 굽기도 한다. 빵 중 하나에 동전을 넣고, 하나는 매우 짠맛으로 만들고, 다른 하나는 매우 달콤하게 만든다. 동전이 들어있는 빵을 얻는 사람은 새로운 한 해에 부자가 될 것이고, 짭짤한 빵은 어려움과 시련을, 달콤한 빵은 쉽고 즐거운 삶을 살 것이라 믿는다. 

프랑스 갈레트(Galette des Rois)

프랑스에서 새해에 먹는 파이처럼 생긴 갈레트(Galette des Rois)를 먹는다. 갈레트는 예수의 탄생과 새해를 축하하는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 특히 이 음식을 만들 때는 작은 도자기 안에 넣어서 굽는다. 그 도자기 안에 있는 갈레트를 먹으면 하루 동안 왕이 되어 일 년 내내 행운이 따른다고 한다. 정확히는 1월 첫째 주 일요일에 먹는데 이 날은 주현절, 예수의 출현을 기념하는 날이다. 갈레트 데 루아를 직역하면 '왕의 케이크'를 의미한다. 마치 포춘쿠키와 같이 자신의 케이크 조각 안에 페브(강낭콩)가 발견되는 사람은 그날의 왕이 되어 하루 동안 명령을 내리는 것뿐 아니라 원하는 모든 소원을 요구할 수 있다. 강낭콩을 넣는 이유는 봄에 가장 먼저 싹을 틔우고, 나이가 들어서는 열매를 맺는 식물이기 때문에 삶, 다산, 출생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19세기 들어서부터는 도자기로 만든 인형을 넣기 시작하였는데, 이 도자기로 만든 페브를 모아서 기념으로 보관하기도 한다. 갈레트는 언제나 제과점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급식에도 나올 정도로 프랑스에서는 익숙한 빵이지만 새해에 나오는 갈레트는 특별히 왕들의 과자라는 뜻의 갈레트 데 루아라고 불리는 것. 

독일 마지팬 피그(Marzipan pig)

독일에서는 새해 전날 온 가족이 부르고뉴 퐁듀를 나눠 먹는다. 뜨거운 오일에 고기와 갖가지 재료를 데워 먹는 음식이다. 그리고 새해맞이로 행운과 행복을 상징하는 마지팬 피그를 가족과 친구, 가까운 이웃에게 선물한다. 마지팬 피그는 아몬드와 설탕, 꿀을 넣어 만든 귀여운 돼지 모양의 과자다. 독일에서는 돼지가 행운을 뜻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돼지 모양의 과자를 나누는 것이 새해를 기념하고 축하하는 예절이라고 한다. 

영국 민스파이(Mince pie)

영국은 크리스마스인 1225일부터 16일까지 12일간 매일 민스파이를 먹는다. 하루라도 빠뜨리면 불운이 찾아온다는 설까지 있다. 또한 민스미트를 만들 때 시계 방향으로 저어야 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재료를 섞으면 새해의 운이 나빠진다는 말도 있다. 민스파이는 13세기 영국의 십자군들이 중동에서 돌아올 때 갖고 온 음식으로, 원래는 소나 양의지방으로 만든 고기를 속재료로 채워 먹었다. 지금은 파이 반죽에 말린 과일, 견과류, 향신료, 수이트(소나 양의 허리쪽 지방)로 만든 민스미트(mincemeat)를 속 재료로 넣고 구운 영국식 파이인데 매우 달콤하다.

이탈리아 코테치노 콘 렌티치(Cotechino con lenticchie)

이탈리아의 새해 음식으로 돼지족으로 만든 소시지에 렌틸콩을 얹는 음식이다. 이탈리아에서 돼지는 풍요를, 렌틸콩은 동전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 번영과 금전운을 상징한다고 한다. 특히 이탈리아 사람들은 땅을 긁지 않는 돼지를 먹으면 1년을 풍요롭게 보낼 수 있다는 믿음에 이 음식을 새해에 먹는데, 이는 긁는다는 뜻의 영어 단어 '스크레치(Scratch)''궁핍하게 살아간다'라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렌틸콩은 조리를 하고 나면 2~3배 가량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늘어나는 재산을 상징한다. , 이탈리아에서는 11일이 아니라 1231일에 먹는 음식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스페인 포도(Grape)

스페인에서는 새해를 맞는 자정 시계탑 소리에 맞춰 종이 한번 울릴 때마다 포도를 한 알씩 먹으며 12알을 먹으며 소원을 비는 풍습이 있다. 포도알 12알은 1년인 12달을 뜻하며, 포도를 한 알씩 먹으며 새해 소원을 비는 것이다. 이런 풍습은 18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마드리드 솔광장 왕립우체국 위의 종이 타종 할 때마다 포도 1알씩을 먹으며 소원을 빈다.

그리스 바실로피타(Vasilopita)

바실로피타는 카스테라와 비슷하게 생긴 그리스의 전통 케이크로, 그리스인들은 새해 첫날 아침 바실로피타를 구워 커피와 함께 먹는다. 특히 케이크 안에는 동전이나 작은 장신구를 넣는데, 이 케이크 조각을 먹는 사람에게 1년 내내 행운이 깃든다고 믿는 풍습이 있다. 바실로피타는 가족 수와 방문객 수만큼 나이순으로 조각내어 자른다. 각 조각은 참석자 외에도 전통에 따라 상징적인 누군가를 위한 조각도 자른다. 첫 번째 조각은 예수 그리스도를 위한 것이고, 두 번째 조각은 성모 마리아를 위한 것이며, 세 번째 조각은 성 바실리를 위한 것이다. ‘Vasilopita’성 바실의 빵을 의미한다. 성 바실리우스로 인해 만들어지게 된 디저트라 ‘pita()’에 그 이름이 붙었다. 성 바실리우스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주고 싶었고, 그것이 자선처럼 보이지 않도록 한 여인에게 빵을 구워달라고 부탁하고 그 안에 금화 여러 개를 넣었다고 한다. 그래서 가난한 가족들은 빵 속에서 동전을 발견하고 기뻐서 놀랐다고 한다. 

불가리아 포카치아(Pocaccia)

피자와도 모습이 비슷한 불가리아의 새해 음식 포카치아. 이 음식을 먹을 때는 빵 안에 동전을 넣은 다음 구운 뒤 식탁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의 수만큼 빵을 잘라서 나눠준다고 한다. 이 때 동전이 들어있는 방을 받게 된 사람은 한 해 동안 행운이 가득 따른다고 한다. 특히 결혼을 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빵 조각을 베개 아래에 숨겨두고 자는데, 이 때 꿈에서 나타난 사람과 곁을 하게 된다는 풍습도 전해져 온다고 한다. 

네덜란드 올리볼렌(Oliebollen)

네덜란드의 올리볼렌 (Unsplash 제공)

네덜란드에서는 새해가 되면 말린 과일을 넣고 튀겨낸 작고 동그란 모양의 올리볼렌(Oliebollen) 도넛을 먹는다. 새해를 축하하는 의미로 와인과 샴페인을 나눠 마신 후에 올리볼렌을 먹는 전통이 있다. 올리볼렌은 6세기경 네덜란드 사람들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졌고 네덜란드의 도넛이라고도 불린다. 19세기부터 새해에 먹는 음식으로 굳어졌고 12월부터 길거리, 슈퍼, 여러 가정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새해 전날에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새로운 한 해의 평안을 기원하며 나누어 먹고, 네덜란드에서는 매년 13천만 개의 올리볼렌이 소비되고 있다. 

미국 호핑 존(Hoppn’ John)

미국 호핑 존 (Wikimedia commons 제공)

호핑 존은 쌀과 검은콩, 돼지고기에 순무 잎사귀, 채소 등을 넣고 끓여 먹는 새해 음식이다. 남북전쟁 당시 모든 것이 황폐화된 남부 지역 주민들이 유일하게 남은 동부 콩과 순무 이파리를 먹으면서 버틴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특히 남부 사람들이 새해 첫날에 검은 눈 완두콩을 먹으면 번영과 행운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설날에 먹는다. 호핑 존은 동전을 의미하는 콩, ‘지폐를 의미하는 채소, ‘를 의미하는 돼지고기나 베이컨이 들어간다. 이는 한 해 동안 돈이 굴러 들어오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는데, 지역에 따라 실제 동전을 넣는 경우도 있으며, 그 이유는 호핑 존을 먹다가 실제 동전을 발견하면 1년 내내 행운이 깃든다고 믿기 때문이다. 호핑 존은 주로 부를 상징하는 양배추와 함께 먹는데, 이는 미국 화폐의 색깔이기 때문이며, 양배추를 먹는 사람은 먹지 않는 사람보다 다음 해에 더 많은 돈을 벌게 된다고 믿는다. 

캐나다 검정눈 콩(black-eyed peas)

캐나다에서는 새해에 특히 먹는 음식으로 검정눈 콩(black-eyed peas)을 이용한 요리를 먹는다. 검정눈 콩요리가 한 해의 풍요로움을 가져다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검정눈 콩을 이용한 생선요리, 야채요리, 국수요리, 디저트까지 많은 종류의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멕시코 로스카 드 레이에스( Rosca de Reyes)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멕시코 역시 같은 새해맞이 풍습을 가지고 있다. 포도알 12알을 한 알씩 먹으며 새해를 맞이한다. 또한 멕시코에서는 1 6 일에 친구와 가족이 함께 동전을 넣은 로스카 드 레이에스(Rosca de Reyes)라는 빵을 먹는다. 빵은 화환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보통 상단에 설탕에 절인 과일을 넣었고 내부에 구운 아기 입상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로카(rosca)’라고도 불린다. 동전을 물게 되는 사람은 한 해 동안 행운이 따른다고 믿는다.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1)

출처_여성경제신문

 중국, 돈을 담아 부자 되라는 '쟈오쯔' *새해맞이음식참고

새해에 쟈오쯔를 먹으면 귀와 입이 열려 복이 몸속으로 들어온다고 믿는다. 쟈오쯔 안에 동전이나 대추를 넣어 그해의 금전운을 점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 풍성한 먹거리를 상징하는 나시 쿠닝



인도네시아에서는 노란색 쌀밥에 채소와 고기를 곁들여 먹는 나시 쿠닝과 땅콩소스를 곁들여 먹는 채소 샐러드인 가도가도’, 닭튀김 요리인 아얌 고렝을 새해 음식으로 즐겨 먹는다. 그중에서도 나시 쿠닝은 먹거리 천국인 인도네시아에서 부자 되기를 기원하면서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강황으로 노랗게 색을 낸 쌀밥을 높이 쌓아 놓고 다양한 채소와 닭고기 요리, 소고기 미트볼, 감자 등을 빙 둘러놓고 다양한 종류의 매콤한 양념을 곁들이는 나시쿠닝은 특별한 날 빠지지 않고 대접하는 음식이다. 노란색은 인도네시아에서 금은보화와 풍부한 먹거리를 상징한다. 노란색 쌀밥을 산처럼 높이 쌓아 희망, 이상, 꿈 그중에서도 부자가 되는 꿈을 염원한다. 

프랑스, 금괴 모양을 본뜬 피낭시에



피낭시에는 프랑스 제과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매력적인 빵이다. 피낭시에(Financier)는 원래 금융, 재정을 뜻하는 영어 단어 ‘Finance’에 해당하는 프랑스어이다. 금융, 재정을 뜻하는 피낭시에가 빵 이름에 사용된 이유는 처음 만들어지게 된 배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증권거래소에서 근무하던 직원들 사이에서는 새해가 되면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었는데 프랑스 증권거래소 근처에서 빵집을 운영하던 라슨(Lasne)이라는 제과사가 새해 선물용 빵을 특별히 증권가 직원들이 좋아할 만한 금괴 모양에 돈을 뜻하는 피낭시에라는 이름을 붙여 팔면서 유래되었다.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2)

출처_여성경제신문

유럽에서는 부를 상징하는 돼지고기

이탈리아에서는 새해에 '참포네(zampone)'라는 돼지고기 요리를 먹는다. 이탈리아 중·북부 지역인 에밀리아로마냐의 모데나에서는 새해의 행운을 비는 의미로 돼지 다리의 뼈를 발라내고 껍질에 속을 채워 돼지족발 모양으로 만든 참포네와 렌틸콩 요리를 즐겨 먹는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등 중부 유럽과 북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새해 첫날에 온 가족이 모여 족발 등 돼지 요리를 즐겨 먹는다. 돼지가 돈과 행운을 가져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검은콩은 동전, 푸른 채소는 지폐를 상징하는 미국의 호핑존 *새해맞이음식참고



중국에서는 특별한 날에 전복 요리를 먹으며 부자 되기를 기원

조개는 석기시대부터 식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조개껍데기는 화폐로 사용되기도 했다. 20세기 초반에도 조개껍데기를 화폐로 사용한 곳이 있었다고 한다. '조개 패()'를 부수로 가진 중국의 한자들은 대부분 돈과 관련된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런 귀한 조개 중에서도 가장 귀한 조개는 바로 전복이다. 전복이 원보라는 명나라 시대의 은화 모양과 비슷하기도 하고 중국어로 전복을 뜻하는 바오위(鮑魚)’와 풍요를 뜻하는 바오위(包餘)’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특별한 날에 전복 요리를 먹으며 부자가 되기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새해 맞는 지구촌한결같은 소망은 평화

출처_KBS뉴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ommended Movie] Winner of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Director Hirokazu Koreeda’s new film ‘Monster’

Tteokbokki recipe golden ratio 1:1:1:1:1

Create a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