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트렌드] 2024글로벌 유통전망, 글로벌 소매업계 대응전략

  

*자료_커니국내 온 오프라인 매출 증감율 추이

2024 리테일리포트 ① 글로벌 유통전망

출처_리테일톡

2024년 글로벌 유통시장을 움직이는 핵심 테마. 

글로벌 유통시장성장둔화 국면 진입

리테일미디어, PB확대로 수익확보

편의와 효율성 제고 위해 리테일테크 투자

2024년 수익 기반 성장을 위한 4가지 전략

1. 수익과 비용혁신 리테일미디어와 PB 강화로 수익 제고

첫 번째 전략은 '수익과 비용혁신(Revenue&Cost Innovation)'이다.

단기 이니셔티브를 통해 매출을 올리거나 비용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활동이 아니라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매출 및 수익 확보의 두 번째 이니셔티브는 PB(Private Brand) 강화이다.

미국의 흐름을 보면 과거 NB(National Brand)와 PB 성장세가 비슷한 추이를 보이다가 최근 1년 사이 PB가 굉장히 확대된 모습들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이니셔티브는 포맷 혁신이다.

글로벌 선도기업들의 포맷 혁신은 '지역화'와 '수익 제고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아마존은 이를 반면교사 삼아 이후 도심 외곽지역으로 출점하면서 주차장과 서비스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식료품 구색을 강화하며 포맷을 정비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입지상권별 포맷 다변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업으로 호주 비즈니스 상권에서는 마이크로(초소형포맷으로 회사 건물 내 출점하는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수익 개선을 위해 마케팅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다.

마케팅 예산과 횟수를 줄이는 대신 한 번의 강력한 마케팅으로 효과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 해외진출 시장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로 공략하라

두 번째 테마는 해외시장 개척이다.

소비재 기업들 경우 한류에 힘입어 다수의 성공 사례가 나온 것에 비해 유통기업들 경우 아직 성공 사례가 많지 않다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해당 시장에 맞는 '프로덕트 마켓 핏(PMF ; Product Market Fit)', 즉 제품이나 서비스의 시장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외진출을 모색할 때에는 자사의 사업 단계에 맞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사업 초기인 경우 지금까지 말씀드린 시장 적합성을 잘 고려해 어떤 상품으로 어떤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를 잘 판단해 일단 성공 사례를 만들어내는 것이 주효하고사업이 성장기에 있을 경우에는 운영 효율에 신경을 써야 한다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브랜드 이미지가 노후화되지 않도록 브랜딩 투자가 필요하다.

 3. D2C 채널 구축 종착역은 커넥티드 커머스

2024년 글로벌 기업들의 세 번째 주요 전략은 D2C(Dircet to Consumer) 채널 확대입니다. D2C 채널은 브랜딩을 높이고고객경험을 향상시키며 고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사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자사몰을 구축해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판매하는 시도는 많은 기업들이 진행하고 있고이미 교훈을 주는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들이 있다.

*패브릭 도쿄는 온라인에서 출발했지만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면서 각 채널의 특징을 잘 활용해 성공한 사례이다.

4. 리테일테크 고객에게는 편의성기업은 효율성

글로벌 기업들의 리테일테크 혁신은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객 관점에서 주문부터 결제배송에 이르는 모든 접점에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것그리고 회사 관점에서 물류센터 운영을 포함해 뒷단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월마트가 선보인 가상 피팅 기술.

현재 유통업계에서 가장 이슈의 중심에 있는 리테일테크는 단연 생성AI이다생성AI를 활용한 챗봇 기술은 과거의 정형화된 솔루션에서 벗어나 맥락 이해를 기반으로 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경험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4 리테일리포트 – ② 국내 유통업계 업태별 결산과 전망

출처_리테일톡


만만치 않은 2024공동의 목표는 효율 제고와 이익률 관리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소매시장 전망이 그리 밝지는 않다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 이경희 상무는 “2024년은 유통기업들이 소비시장의 양적질적 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고비용 시대를 맞아 운영 효율화를 통한 수익개선을 모색해야 하는 시기라며 2024년 대응전략을 위한 키워드로 전략 재정비를 의미하는 'RESET'을 제시했다. 

  • Reconsider Customers : 인구구조와 세대변화 등에 따른 고객 속성 재정립
  • Enlarge Coverage : 상품을 넘어 서비스 영역으로 유통 범위 확장
  • Simplify Operations : 비용상승 시대의 운영 효율화
  • Export &Investment : 국내시장 포화에 따른 해외진출 모색
  • Target for Low carbon : ESG 경영을 위한 탄소에너지 비용 감소방안 모색

고물가 시대의 글로벌 소매업계 대응전략

출처_리테일톡

 


*자료_IMF ‘국가별인플레이션 증감률

생활비 위기 시대소매기업이 고객을 잃지 않는 방법

  • '우리가 알디보다 싸다', 알디 가격과 경쟁
  • '적립대신 '즉각 할인', 멤버십 방향 수정
  • 까르푸, '식료품 구매력 보장보험 출시

*까르푸, '식료품 구매력 보장보험 출시


*테스코, '클럽카드 프라이스'회원만을 위한 독점 가격 혜택을 구매시점에 제공한다.

글로벌 소매업계 4가지 대응전략

① 가격 집중/초저가의 아이콘, '알디와 맞불전략'

② 멤버십 정책 수정/'적립'보다 '즉시 할인'

③ PB 취급확대/가격 낮추고 마진도 챙기는 최고의 수단

④ 물가안정기에 대비/한발 앞선 수익개선 작업 

*알디 PB 제품에는 모든 면에 바코드가 인쇄돼 있고바코드 크기도 커서 계산대 효율이 높다.

내년 하반기고객들은 어려운 시기에 도움 준 소매업체 찾아간다.

소비시장에 악재가 겹겹히 겹친 지금은 고객의 행동방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하고자사의 고객을 재정의하는 것이 대응전략 수립의 출발점이다글로벌 소매업계 전문가들은 내년에 물가인상이 멈추면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이 조금씩 정상적인 패턴을 되찾으면서 생활비 위기 때 자신들의 어려운 사정을 고려해준 소매기업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ommended Movie] Winner of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Director Hirokazu Koreeda’s new film ‘Monster’

Tteokbokki recipe golden ratio 1:1:1:1:1

Create a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