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트렌드] 한국 무인점포 창업, 종류

 

 [사진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Cashierless Store)에 대해 알아보자.

출처_티스토리 by 쉽게 가르쳐주는 삐약이

#개념

무인점포(Cashierless Store)는 말 그대로 계산원이 없는 상점이다. 이런 점포에서는 전통적이 계산원 없이 고객들이 제품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제도 자동으로 처리되어 주로 최신 기술인 컴퓨터 비전, 센서, IoT기술, 인공지능 들이 활용되어, 고객들은 앱을 통해 접속하여 스캔하고, 카트에 담으면 자동으로 계산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영 시 편리하고 빠른 쇼핑을 경험할 수 있다.

#관련기술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제품을 식별하고 추적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
고객의 행동을 학습하고, 상품 추천과 결제과정을 자동화하는데 사용되는 인공지능(AI)
무인점포 내의 센서로 고객들의 동작과 상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학한 결제를 도와주는 센서기술
무인점포 내의 모든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 받고, 상호작용하게 도와주는 IoT기술
앱을 통해 상품을 인식하고, 결제 및 재고 관리에 활용되는 QR코드 및 바코드 스캐닝기술
고객들이 상품을 선택한 후 자동으로 결제가 이르러지는 자동 결제 시스템
자동으로 상품을 인식하고 결제하는 카트로, 편리한 쇼핑 경험하는 스마트 카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다양한 무인점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품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상품을 식별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RFID 기술
고객이 무인점포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자동문 열기 시스템

#장점

고객들은 계산원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할 수 있어서 편리한 쇼핑 경험
무인점포는 계산원 비용을 줄이고, 자동화된 결제 시스템으로 인해 시간과 운영비용 절감
계산원이 없기 때문에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고용비용을 절감
센서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재고 관리
무인점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행동과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어 경영에 도움

#단점

무인점포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최신기술은 비용이 크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술적 제약
아직 많은 기술적 도전과 미숙한 부분들이 있어서 오작동이나 결함이 발생
대규모 상점이나 복잡한 상품 구성을 가진 점포에는 적용, 구현의 어려움
무인점포에서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없어 고객들 사이의 쇼설 경험인 인간적이 상호작용 부족
무인점포에서 주입되는 개인 정보들이 유출될 경우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발생으로 인한 데이터 보안문제

더 이상 편의점 알바가 없는 전세계 무인 편의점 BEST 6

출처_레드프라이데이

점원도 계산대도 없는 무인 점포의 원조는 미국 유통 공룡 아마존아마존 고(go)’이다. 아마존은 2016년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 건물 데이원에서 세계 최초의 무인 점포를 선보였다. 아마존은 인공지능(AI)과 센서, 이미지 분석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들고 매장에 들어간 뒤 물건을 들고 나오면 자동으로 결제까지 이뤄지는 무인 점포의 표준을 만들어냈다. 그냥 들고 나가면 된다는 뜻에서 저스트 워크 아웃(Just Walk Out)’이라고 불린다. 

해외 무인 점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업체 대부분은 인터넷 쇼핑업체들이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미국 MIT 경영대학원의 슬로언 매니지먼트 리뷰온라인 상점이 주력인 아마존은 고객들이 인터넷을 어떻게 활용하고 구매하는지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오프라인 쇼핑 시장에 대한 데이터는 부족하다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마존 고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프라인에서 무인 점포로 유통 사업을 하면서, 동시에 오프라인에 익숙한 쇼핑객을 어떻게 온라인으로 유인할 수 있는지 찾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사진_티타임즈

최첨단 기술, 성과는 암울AI 매장 '아마존 고' 철수설

출처_중앙일보

 아마존은 아마존 고의 확장판인 수퍼마켓 아마존 프레시(Amazon Fresh)를 연이어 선보이며 과일·채소·고기까지 갖춘 완벽한 무인매장로 거듭날 것이라 예고했다. 아마존 창업자이자 당시 CEO였던 제프 베조스는 “2020년까지 미국에만 2000개 매장을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 즈음 중국의 e커머스(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는 5000개 매장을 목표로 신기술을 적용한 무인수퍼를 만들어 나가고 있었고,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말 그대로 무인매장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었다.

그러나 올해는 달랐다. 이번에 방문한 아마존 본사 인근의 아마존 프레시 시애틀 매장은 오히려 휑할 정도로 썰렁한 모습이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상품 종류별로 촘촘하게 설치한 카메라가 사라진 점이다. 대신 천장에 넓은 구역을 인식하는 카메라가 확충됐다. 매대 사이에는 아마존의 AI 플랫폼 알렉사를 탑재한 검색대가 있어 제품 가격을 확인하거나 서비스를 문의할 수 있다.

특이한 건 유인 계산대가 생겼다는 점이다. 반품·교환을 담당하는 고객 서비스 센터에도 전에 없던 인력이 배치됐다. 국내 여느 대형마트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기술 개발과 적용에 엄청난 비용을 들이고 있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졌어도 결국은 사람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 아마존 고는 100% 무인을 목표로 했지만 결국 그 카메라를 감시하는 게 사람이다. 기술 개발, 업데이트 외에 감시 인력까지 비용이 세배로 늘어난 셈이다. 아마존이 기술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동안 고객의 쇼핑에 대한 경험이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뒷전이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진즉에 신기하지만 다시 이용하지 않는 곳이라는 오명이 붙기도 했다. 아마존 고의 참패는 어쩌면 예고된 수순이었을지도 모른다.

 앞으로 30년 동안은 데이터 기술의 시대라고 이야기한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의 말이나, 미래는 인공지능 시대라고 이야기한 손정의 회장의 말대로 아마존은 미래의 무소불위 기업이 될지도 모른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빅테크 기업이 급성장했지만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진 기업도 결국 오프라인 시장을 확보하지 못하면 지속가능성을 보장받기 힘들다. 그런 면에서 아마존 고의 실패를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


변화되는 무인점포 종류 한눈에 정리하기

출처_네이버블로그 해피쩡스의 놀며 일하기

우리나라의 무인점포 창업 2023년 아이템 종류는 무인세탁소(빨래방), 무인아이스크림무인 문구점무인 밀키트&반찬무인 애견용품점무인 옷가게무인 철물점무인 도시락무인 공간임대무인 독서실&스터디 카페무인 창고무인 셀프사진관무인 프린트 카페무인 애견 샤워장무인 과일가게무인 편의점 등 다양하다.

출처_메이저사이트에서 놀며 일하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ommended Movie] Winner of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Director Hirokazu Koreeda’s new film ‘Monster’

Tteokbokki recipe golden ratio 1:1:1:1:1

Create a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