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②] 캠핑을 시작 한다면 무엇부터?! 캠핑 문화가 궁금해

 [To Beul++ ː Today’s blog topping++]

 ⛺⛺⛺

캠핑은

자연과 교감하고, 새로운 문화를 탐험하고

오래 지속되는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취미이다.


출처_대한캠핑장협회

캠핑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자면, ‘캠핑=레저라는 생각이 뿌리내리게 된 것은 근대에 이르러 시작된 개념이다. 그 전까지의 캠핑은 이동하는 상인 혹은 전쟁에 참전하는 군인들이 야외에서 숙박을 해결하기 위한 생존 수단에 불과했다.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산업혁명과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생활에 여유가 생긴 도시민들은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원했고, 자연 속에서 여가생활을 즐기는 캠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근대 캠핑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인물이 ‘Thomas Hiram Holding’입니다. 그는 세계 최초의 자전거 동호회 ‘Bicycle League’를 설립하고 자전거에 텐트를 싣고 캠핑을 하기 시작했다. 여가활동으로서의 캠핑을 정립한 그는 캠핑에 관한 최초의 저서도 저술하는 등 다양한 캠핑용품을 발전시켜 나갑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교육용 캠핑이 시작되어 1876YMCA 캠핑, 1907년에는 영국 보이스카우트 연맹이 창설되어 여러 분야로의 발전을 이룩했다.

 국내의 오토캠핑

출처_대한민국 구석구석 고캠핑 

1990년대 중반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캠핑이 주를 이뤘으며 산악인이나 등산객들이 캠핑문화를 선도했다. 일반인의 경우 여름휴가철에 계곡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하는 게 전부였다. 당시만 해도 캠핑 장비라고 해야 후줄근한 텐트와 코펠정도가 전부고, 나머지는 집에서 쓰던 것을 가져온 것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캠핑문화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캠핑이 하나의 레저활동으로 자리 잡으면서 오토캠핑 붐이 일기 시작한 것이다. 마니아층을 대상으로 동호회가 활성화되기 시작했으며 전문적인 오토캠핑 장비들이 속속 선을 보였다. 여기에는 해외여행이 크게 늘면서 선진국의 캠핑문화를 경험한 이들의 높아진 눈높이도 한몫을 했다.

현재 오토캠핑 인구는 급속도로 늘고 있다. 한 인터넷 동호회는 회원수만 15000명을 자랑할 정도다. 오토캠핑 인구의 확대는 장비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전까지 일반캠핑용과 구별 없이 사용되던 장비가 오토캠핑 장비로 확실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를 테면, 텐트의 경우 리빙셸이 있는 대형 텐트가 중심이 되고, 키친이나 테이블, 의자등 의 캠핑가구는 기본 장비가 됐다.

우리나라의 오토캠핑문화는 캠핑카와 트레일러 중심의 북미나 유럽과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동차에 캠핑 장비를 싣고 가서 캠핑장에 텐트를 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고캠핑>

⛺⛺⛺

국가별 캠핑의 형태

출처_아웃도어뉴스

캠핑은 집이 아닌 야외에서 자연을 벗 삼아 숙식하는 행위이지만 지형과 문화가 서로 다르기에 국가나 지역별로 유행하는 형태가 다르기도 하죠. 캠핑의 형태는 크게 이동형과 정착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캠핑 문화가 오래 전부터 자리 잡은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이동형 캠핑을 선호하지만 땅이 협소하고 캠핑장 외에 노지 캠핑이 힘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는 정착형을 선호합니다. 

패밀리 캠핑, 미니멀 캠핑, 백패킹, 차박, 오지 캠핑, 캠핑 트레일러 등 대한민국은 다양한 캠핑 문화가 공존하고 있어요. 자연을 오롯이 즐기기에 캠핑의 형태가 중요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것은 조용히 사색하는 이웃 캠퍼들을 배려하고, 같은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건전한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하겠습니다.

 

"진짜 이해안된다"...한국인과 캠핑해본 외국인들이 경악한 이유

출처_여행톡톡 

2023년 여름! 가장 인기있는 국립자연휴양림 객실은 경북 문경시 국립대양산자연휴양림 숲속의 집 601호로, 729일 당일 예약 경쟁률이 무려 3811을 기록했어요. 한국에서는 야영정도에 머물렀던 캠핑이 코로나 이후 더욱 대중화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 요즘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오토캠핑 문화는 일반적인 선진국의 캠핑문화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오토캠핑에는 초대형 텐트와 타프, 집에서 쓰는 가구를 무색케 하는 호화로운 의자와 탁자, 주방 도구들이 등장합니다. 

캐나다인들은 한국과 달리 캠핑장을 베이스캠프 정도로만 생각합니다. 텐트와 스토브 정도만 가지고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요. 자연을 찾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준비 정도로 텐트는 비나 바람, 주위의 시선을 막아주면 그 뿐이라고 여깁니다. 텐트 주변에서 활동하기보다 그 범위를 벗어나 주변 관광에 집중하는 편이죠. 또한 한 끼 식사를 준비하기보다는 가져온 맥주나 와인을 한 잔 즐기는 정도로 가볍게 해결합니다. 이른바 미니멀 캠핑의 정석을 보여주는 문화입니다. 캐나다인들이 캠핑 장비를 최소화하는 이유는 건조한 기후 때문입니다. 캐나다의 캠핑장은 매우 건조해 화재 위험이 높아 그들에게 숙식 장비는 오히려 불필요한 짐이 됩니다. 모닥불은 지정된 나무로만 가능하며 밤 11시부터 오전 7시까지는 콰이어트 타임으로 불을 피울 수 없죠. 한 가지 더 주의할 점은 캠핑장에서 만난 동물들에게 절대 먹이를 주어선 안 된다는 것인데요. 이는 동물 스스로의 생계능력을 유지시켜주기 위함입니다. 

영국의 캠핑 방식은 단체생활이 익숙한 한국인에게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집니다. 보통 한국인들은 캠핑하면 가족이나 지인들끼리 식사부터 숙박까지 한 텐트에서 함께 해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영국에서는 가족이 아닌 지인이나 친구와 함께 떠난 캠핑의 경우, 단체보다 개인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우리나라의 캠핑 문화는 음식에서 극명한 대조를 보입니다. 외국의 캠퍼들은 캠핑장에서 해먹는 요리에 크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마트에서 사온 즉석 식품을 요리해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로에 바비큐 시설이 기본으로 되어 있어도 모닥불을 이용해 바비큐를 굽는 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먹는 것이 캠핑의 목적이 되곤 합니다. 술과 음식을 먹기 위해 캠핑을 간다고 할 정도입니다. 

한국의 캠핑에는 세계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 있는데요. 바로 겨울에도 캠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겨울 캠프를 즐기는 한 캠퍼는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은 겨울에 텐트를 치는 것이 여간 곤욕스러운 일이 아니지만 모닥불을 피워놓고 가족들과 둘러앉아 이야기하는 즐거움이 더 커 겨울 캠프를 즐긴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여름과 달리 겨울의 캠핑장은 고요하다고 하는데요. 진정한 자연의 소리를 듣고, 향기를 맡으며,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늘어나는 캠핑족...부족한 인식 수준 논란의 ​​​​​​​해변 알박기 텐트, 민폐 넘어 환경훼손 문제'

해양수산부는 해수욕장에서 무단으로 방치된 물건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해수욕장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정안은 최근 해수욕장 내 야영장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에서 야영·취사를 하고 관련 물품 등을 오랜 기간 방치하거나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 해수욕장 이용객과 인근 주민으로부터 다수의 민원이 제기된 것에 반해, 기존 해수욕장법으로는 과태료 부과, 행정대집행 등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전 세계 캠핑 문화 차이

 출처_티스토리 by.캠크크

캠핑은 사람들이 야외를 탐험하고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입니다. 일상의 법잡함에서 벗어나는 것이죠.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호주와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중동, 태평양 제도, 스칸다나비아, 러시아 나라별 캠핑문화는 지형, 기후, 문화적 신념, 사회경제적 조건이 반영되어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캠핑의 모습이 매우 다양합니다. 캠핑은 자연과 교감하고, 새로운 문화를 탐험하고, 오래 지속되는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취미입니다.

 해외에서는 어떻게 캠핑을 즐길까요? 해외의 캠핑 문화!

_Naver Blog 짚걸의 캠핑 

브런치북 2022 캠핑트렌드

by.바다이

 브런치북 소개

캠핑을 좋아하였고 왜, 열광하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작가의 유년시절부터 찾아 보았으며 캠핑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앞으로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를 과거와 현재를 통해 설명하였으며 미래에는 열풍을 넘어 캠핑 문화로 자리잡게 되길 희망하였다. 

1. 팬데믹의 시간,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 하나!

2.열풍, 전국을 뒤흔든 캠핑

3. 캠핑, 왜 열광하는가?

4. 열풍이 만들어낸 불편한 캠핑

5. 불편한 캠핑, 5000만시대의 모습들

6. 성장할수록 더 커지는 생각과 시각의 차이

7. 강제와 강요, 시민의식을 가장하다

8. 사유화,폭력 그리고 남획...

9. 우리가 해야 할 최선의 선택

10. 캠핑,열풍을 넘어 문화가 되다

출처_픽사베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ommended Movie] Winner of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Director Hirokazu Koreeda’s new film ‘Monster’

Tteokbokki recipe golden ratio 1:1:1:1:1

Create a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