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④]트렌드 홈 카페 도전, 커피와 코리아디저트

 🍮🍰🍩

  커피와 디저트 

커피를 즐기기에 또 하나의 방법, 아니 디저트를 즐기기에 커피를...

다양한 커피 메뉴와 원두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어울리는 디저트 페어링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coffee체크] 디저트 따라 커피 맛이 달라진다커피 페어링확산

*출처_리얼푸드 육성연

생선요리엔 레드와인보다 화이트와인이 잘 어울리듯 커피도 풍미를 더욱 살려주는 디저트가 따로 있답니다. 커피마다 궁합이 잘 맞는 디저트와의 결합, 바로 커피 페어링 (Coffee Pairing)’ 문화가 국내에서도 주목받으며 확산중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기 때문에 페어링에는 정답이 없지만, 하지만 다양한 커피 메뉴와 원두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어울리는 디저트 페어링이 존재합니다. 가령 쓴 맛이 강한 아메리카노는 진한 초콜릿 케이크와 함께 먹을 경우와 상큼한 레몬케이크와 함께 먹는 때느낄수 있는 커피 맛이 다르다고 합니다. 원두와 디저트 종류를 섬세하게 조율한다면 최상의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얘기죠.

커피에 대한 한국인의 열정적인 사랑만큼 최근에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커피 페어링을 즐기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디저트 페어링이 좋은 카페를 찾아다니거나 커피와 잘 어울리는 디저트를 SNS 상에 올리는 글도 늘었다고 합니다.

커피는 일반적으로 빵과도 잘 어울립니다. 포슬하거나 까칠거리는 빵 어떤 것이든 소화시킵니다.

한국인의 주식은 쌀이죠. 밀가루가 주식이 외국에서 빵이 만들어 졌듯이 한국인의 디저트도 쌀로 만들어 졌습니다.

요즘 한국의 디저트 트렌드는 K-간식, K-디저트가 입니다.

한식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소반차림. 개성주악, 유밀과, 정과류 등 접시에 담아 아담 등 정갈하고 깔끔한 한식디저트 맛집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신토불이, 한식을 먹어야 속이 편한 이들을 위한 퓨전 한식 디저트라고 할까요.

 

제 블로그에도 많은 코리아푸드를 다루면서 작성한 게시물이이 많은데요.

다시 한번 참고 해주시구요. 최근 기사들도 다시 들여다 볼께요.

 💝💝💝

[간식 트렌드] ‘붕세권이색 붕어빵 시대, 겨울간식

[2023한국은 핫해! 인기트랜드] K-디저트 약과 만들기, 레시피 영상

[2023한국은 핫해! 인기트랜드] K-디저트 한국 전통 간식 약과

한국인의 전통 간식 문화_ 전통 음료

한국인의 전통 간식 문화_ 전통떡

한국인의 전통 간식 문화_ 한과


 

🍮🍰🍩

해외문화홍보원에서 발행한 월간 <코리아>에서 

우리 고유의 민족적 품성이 깃든 한국식 디저트의 가능성을 담아내었다.



*출처_한국문화홍보서비스 kocis

위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트렌디한 전통 디저트 5

약과, 정과, 주악 등 모던의 옷을 입고 재탄생한 전통 디저트 다섯.

*출처_W korea by.전여울

1. 파래 한과

유기농 찹쌀을 재료로 전통 방식에 따라 만든 파래 한과. 쌉쌀한 파래와 달지 않은 조청이 조화를 이룬다. 입 안을 간질이며 부서지는 바삭한 식감이 매력적이고, 식혜나 다양한 잎차와 특히 궁합이 좋다.

2. 토끼 개성약과, 인절미 개성 스틱

켜가 살아 있는 파삭한 식감의 개성약과 2. 전통 약과와 달리 즙청의 종류, 필링, 토핑, 모양 등을 현대적으로 트위스트해 완성했다. ‘토끼 개성약과에선 은은한 카카오, 시나몬 향이 스치고, ‘인절미 개성 스틱은 콩가루를 더해 고소함을 살렸다.

3. 개성주악

고려시대부터 개성 지방에서 즐겨 먹던 전통 떡으로, 찹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둥글게 빚어 기름에 지진 후 조청을 묻혀 완성했다. 막걸리로 발효해 소화가 잘되고 강하지 않은 단맛이 특징이다.

4. 퍼즐 양갱

단맛만을 강조한 기존 양갱의 틀에서 벗어나 현대적 재료를 사용해 재해석한 양갱으로, 오이와 크림치즈를 섞어 만들었다. 말캉한 질감, 중간중간 씹히는 재료의 맛으로 비스킷에 스프레드처럼 발라 먹기 좋다.

5. 금귤꽃 정과

금귤을 꿀, 조청, 설탕 등에 재운 후 졸이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했다. 젤리처럼 쫄깃하게 씹히는 식감이 매력적이며 씹을수록 코끝으로 금귤의 상큼한 풍미가 전해진다.

*이미지출처_인스타그램 에움@aeum.seoul 소보로스코프 @soboroscope

*이미지출처_연리희재 홈페이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ommended Movie] Winner of the Best Screenplay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Director Hirokazu Koreeda’s new film ‘Monster’

Tteokbokki recipe golden ratio 1:1:1:1:1

Create a blogger!!!